잠 잘때 브라(브래지어) 착용 여부 여성이라면 뗄래야 뗄수없는 의류(?)가 "브라(브래지어)" 입니다. 몸에 맞게 잘 착용해야 하는데요. 컵에서 가슴이 삐져나오지 않아야 합니다. 위쪽에 틈새도 생기지 않아야 하는데요. 양쪽 가슴이 지나치게 모이거나 벌어지지 않아야 합니다. 가슴을 받쳐주는 밑부분이 등 뒤까지 똑바로 이어져 지면과 평행을 이뤄야 합니다. 잠 잘때 브라를 착용하는 분도 있는데요. 브래지어를 장시간 착용하면 가슴의 혈액 및 림프순환을 방해하고 소화불량 같은 증상을 일으킬 수도 있습니다. 매일 브래지어를 12시간 이상 착용한 여성이 짧은 시간만 착용하거나 전혀 착용하지 않는 여성보다 유방암에 걸릴 확률이 20배 이상 높다는 연구결과도 있습니다. 브래지어 착용과 가슴의 모양 및 탄력 유지와는 관계..
작은빨간집모기 및 흰줄숲모기 특징 '작은빨간집모기'의 매개질환은 일본뇌염입니다. 예방백신이 있는만큼, 권장대상자는 예방접종을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흰줄숲모기'의 매개질환은 지카바이러스 감염증, 뎅기열, 치쿤구니야열 등입니다. 모기에 물리지 않는 것이 최선입니다. 1. 작은빨간집모기 전체적으로 암갈색을 띠고 뚜렷한 무늬가 없습니다. 주둥이의 중앙에 넓은 백색 띠가 있는 소형모기(약4.5mm) 입니다. 6월부터 본격적으로 채집되기 시작해 8월에 가장 높은 발생을 보입니다. 작은빨간집모기 유충은 미나리꽝, 논, 웅덩이 등 비교적 썩지 않는 맑은 물에 서식합니다. 주로 밤 시간(8∼10시)에 활동하며, 인체흡혈은 5% 내외입니다. 흔히 논, 축사에서 소, 돼지 등 큰 동물을 주로 흡혈합니다. *출처 : 질병..
자외선지수 단계 기상청 홈페이지에서 오늘의 자외선지수를 알아볼 수 있습니다. 날씨 > 생활과 산업 > 생활기상정보 > 생활기상지수 > 지수별 > 자외선지수 카테고리를 이용하면 됩니다. 위험에 따라 5단계로 구분되어 있는데요. 각 단계별 주의사항은 다음과 같습니다. 참고하셔서 자외선지수가 높은 날은 각별히 주의하세요. ① 위험(11이상) 햇볕에 노출시 수십분 이내에도 피부 화상을 입을 수 있어 가장 위험합니다. 가능한 실내에 머물러야 합니다. 외출시 긴 소매 옷, 모자, 선글라스를 이용합니다. 자외선 차단제를 정기적으로 발라야 합니다. ② 매우높음(8~10) 햇볕에 노출시 수십분 이내에도 피부 화상을 있을 수 있어 매우 위험합니다. 오전 10시부터 오후 3시까지 외출을 피하고 실내나 그늘에 머물러야 합니다..
풋귤 효능 (초록귤 효능) 2016년부터 완숙 이전의 풋귤(초록귤)을 수확해 유통하는 것이 허용됐습니다. 풋귤은 완숙된 감귤에 비해 플라보노이드 및 폴리페놀 등 항산화 성분이 2배 이상 높은데요. 풋귤을 이용해 풋귤청을 만들어 먹어도 좋습니다. ▶ 풋귤효능 및 성분 - (수치는 11월 중순 수확한 완숙 감귤과의 비교임, 출처 : 농촌진흥청) 풋귤에는 노화억제, 고지혈증 예방, 비만 개선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플라보노이드(항산화, 항암, 항염증 등의 효과를 갖는 화합물) 등 기능성분 함량이 높습니다. 우리 몸에 있는 활성산소(유해산소)를 해가 없는 물질로 바꿔주는 항산화물질 중 하나인 폴리페놀도 완숙 감귤에 비해 높은데요. *출처 : 농촌진흥청 풋귤의 폴리페놀 함량은 껍질 19.59g/100g, 과육 ..
아폴로눈병 증상 (급성출혈성결막염) 및 유행성각결막염 증상 급성 출혈성 결막염(아폴로눈병) 및 유행성 각결막염 등 유행성 눈병을 일으키는 바이러스는 감염된 사람의 눈 분비물 또는 오염된 물건 등과의 직접적인 접촉으로 감염됩니다. 주로 늦여름에서 초가을에 많이 발생하는데요. 손을 자주 씻고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눈을 비비거나 만지지 않는 것으로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습니다. (이미지 출처 : 질병관리본부) 1. 아폴로눈병 - 급성출혈성결막염 (AHC, Acute Hemorrhagic Conjunctivitis) ① 병원체 : Picornaviruses속의 enterovirus 70형 또는 Coxachievirus A24var 형 ② 발생 현황 : 약 5~10년 주기로 유행하며 늦여름부터 초가..
전염성 눈병 증상, 종류 - 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 인두결막염 각종 전염성 눈병은 바이러스가 원인입니다. 유행성각결막염, 급성출혈성결막염, 인두결막염 등이 대표적인데요. 갑자기 눈물이 나며 눈곱이 생기고 충혈 및 눈이 까끌거리고 아픈 증상이 있습니다. 관련 증상이 있다면 안과를 찾아 정확한 진단 및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한데요. 정확한 진단없이 함부로 안약 등을 사용하면 녹내장이나 각막궤양 등의 합병증을 불러올 수도 있습니다. 손을 깨끗이 씻고 눈을 만지지 않는 것이 좋은데요. 흐르는 깨끗한 물이나 인공눈물로 눈을 깜빡이면서 씻는 것이 좋습니다. 전염성이 강하므로 눈병 환자가 만진 물건은 되도록 만지지 않아야 합니다. 1. 유행성 각결막염 증상 보통 3~5일 정도의 잠복기 이후 나타납니다. 눈..
정수리 모발이식 부작용 모발이식은 남성호르몬의 영향을 받지 않는 뒷머리 및 옆머리의 모낭을 채취해 정수리 등 탈모부위에 이식하는 방법입니다. 이식 이후부터는 호르몬의 영향을 받지않아 정상적으로 탈모관리를 할 수 있는데요. 몇가지 부작용이 있을 수 있습니다. 1. 정수리 모발이식 부작용 ① 모낭염 세균감염으로 모낭에 염증이 생기는 것입니다. 이식 후 생착율이 저하될 수 있는데요. 면도, 의류, 모자로 인한 계속적인 물리적 자극 또는 땀이나 피부오일, 화장 등으로 발생할 수 있습니다. ② 면역력 저하로 인한 생착율 저하 감염관리 및 이식 후 모발관리를 잘 하더라도 과도한 음주 및 과로로 면역력이 저하되어 생착율이 낮아질 수도 있습니다. ③ 붓기 잘 붓는 체질이나 이식한 양이 많을 경우, 얼굴 옆부분에 이식한..
메르스 자가진단 메르스 자가진단법을 간략히 알아봤습니다. 메르스 증상은 감기와 비슷합니다. 단순히 발열과 호흡기 증상만 있다고 메르스로 의심할 수는 없습니다. 아래 내용은 참고만 하세요. 질병관리본부의 메르스 환자사례 정의를 참고한 내용입니다. 확진은 실험실 진단검사를 통해 메르스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이 확인되야 합니다. ※ 메르스 자가진단 - 신고를 위한 의심환자 진단기준과 증상 ① 37.5도 이상의 발열과 동반되는 폐렴 또는 급성호흡기증후군 증상(호흡곤란, 기침, 가슴통증 등)이 있다 ② ①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 중동지역을 방문했거나 중동지역 방문후 14일 이내에 ①의 증상이 있는 사람과 밀접하게 접촉한 적이 있다 ③ ①의 증상이 나타나기 전 메르스 발생 병원을 방문한 적이 있다 ④ 메르스 확진환자 또..
알레르기 비염 원인 및 알레르기 비염 증상 봄, 가을 등 환절기에 많이 나타나는 고질적인 질환 중 하나가 '알레르기 비염' 입니다. 계속 흘러내리는 맑은 콧물, 코막힘, 재채기, 가려움증 등으로 일상생활에 지장을 받습니다. 낮에는 흘러내리는 콧물 닦느라 휴지통을 달고 다니고, 밤에는 막힌 코 때문에 제대로 잠을 못자서 만성피로에 시달리기도 합니다. 초기에는 감기와 비슷한 증상을 보이다가 환절기가 지나면 나아지는 것을 반복하는데요. 알레르기비염 치료를 초기에 하지 않으면 축농증, 천식, 중이염, 부비동염 등의 합병증을 유발할 수도 있습니다. 알레르기 비염 원인은 꽃가루, 집먼지진드기, 동물의 털, 곰팡이, 담배연기, 음식물 등입니다. 일상생활에서 위와 같은 것들을 완전히 차단하기는 힘든데요. 초기에 적절히..
gi지수 낮은 음식 (혈당지수 다이어트 음식) 'gi 다이어트'라고 들어보셨나요? 식사량은 그대로 유지하면서 당수치가 낮은 음식만 골라먹는 다이어트 방법인데요. '저인슐린다이어트'라고도 합니다. 혈당지수(gi지수)가 60 이하인 음식들로 식단을 구성해 2주가량 지속하는데요. 채소 이외에도 육류와 어류 등 gi지수가 낮은 음식도 많아 건강하게 도전해볼 수 있는 다이어트 방법입니다. 1. 혈당지수 (GI지수, 포도당 100기준) 탄수화물은 체내에서 포도당으로 변해 흡수됩니다. GI지수는 탄수화물을 섭취한 후 혈당 상승 정도를 비교한 것을 말하는데요. 얼마나 빨리 탄수화물을 분해해 혈당으로 변화시키는가를 말합니다. GI지수가 높으면 췌장이 자극되어 필요 이상으로 인슐린이 분비되는데요. 과잉 분비된 인슐린은 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