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종 국내 여러 지역에서 댕구알버섯 발견 소식이 전해지곤 합니다. 댕구알버섯의 속명은 라틴어 Calvatia 입니다. ‘민둥머리’처럼 생긴 버섯 모양에 따라 이름이 붙여졌습니다. 댕구알버섯은 번식을 위한 5조(兆)개의 포자덩어리로 이루어져 있고, 버섯이 성숙하면 곤충을 유인하기 위해 독특한 냄새를 풍기기도 합니다. ▶ 댕구알버섯 효능 댕구알버섯에서 남성 성기능 개선과 관련해 기초적인 기능성 가능 물질은 검출됐습니다. 하지만 정확한 댕구알버섯 효능에 관해서는 임상시험과 독성평가 등 안정성 검증이 이뤄져야 합니다. 아직까지 확실히 남성 성기능 개선효과가 검증된 바는 없습니다. 최근 연구(2018년 10월 16일 산림청 발표)에서 염증반응을 억제하는 새로운 유용 물질 발견 소식이 전해진 바 있습니다. 댕구알버..
'하임리히법'은 음식 등 각종 이물질이 목에 걸렸을때 이용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환자에게 "목에 뭐가 걸렸습니까?" 라고 질문한 후 고개만 끄덕이면 즉시 시행합니다. 단, 기침이나 말을 하는 경우에는 기침을 권장합니다. (이미지 및 내용 출처 : 보건복지부) 1. 성인 하임리히법 환자를 뒤에서 감싸듯 안습니다. 주먹을 쥔 손의 엄지손가락 방향을 흉골 바로 아래(명치 끝 부분)와 배꼽 사이에 오도록 합니다. 나머지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 환자의 배를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당기듯이 밀쳐 올립니다. 이물질이 나오거나 환자가 힘차게 숨을 쉬고 기침을 할 때까지 반복합니다. 의식이 없어지면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2. 아기 하임리히법 영·유아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기도폐쇄입니다. 사탕..
어지러움증은 두통과 함께 흔한 신경학적 증상 중 하나입니다. 생리적 어지러움증(멀미와 같이 각종 질환이나 질병에 관계없이 외부 자극에 반응해 나타남)과 병적 어지러움증으로 구분할 수 있습니다. 병적 어지럼증은 전정기능 장애로 발생하는데요. 말초성 어지럼증과 중추성 어지럼증으로 나눌 수 있습니다. 전정기능은 몸의 운동감각이나 신체의 평형을 유지하는 기능입니다. 말초전정계는 귓속에 있는 반고리관과 전정으로 구성되며 중추전정계는 전정신경과 전정핵, 소뇌로 구성됩니다. 전정기능에 장애가 발생하면 어지럼증, 구토, 안면 창백, 식은땀 등의 증상이 나타나는데요. 노년층에서 많이 발생합니다. 넘어지는 등 낙상사고로 타박상, 골절 등을 유발할 수도 있는데요.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지만 전정기능 장애를 예방하기는 힘듭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