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하임리히법'은 음식 등 각종 이물질이 목에 걸렸을때 이용할 수 있는 응급처치 방법입니다. 환자에게 "목에 뭐가 걸렸습니까?" 라고 질문한 후 고개만 끄덕이면 즉시 시행합니다.

 

단, 기침이나 말을 하는 경우에는 기침을 권장합니다. (이미지 및 내용 출처 : 보건복지부)

 

 

1. 성인 하임리히법

 

환자를 뒤에서 감싸듯 안습니다. 주먹을 쥔 손의 엄지손가락 방향을 흉골 바로 아래(명치 끝 부분)와 배꼽 사이에 오도록 합니다.

 

나머지 손으로 주먹 쥔 손을 감싸 환자의 배를 아래에서 위쪽 방향으로 당기듯이 밀쳐 올립니다. 이물질이 나오거나 환자가 힘차게 숨을 쉬고 기침을 할 때까지 반복합니다.

 

의식이 없어지면 바로 심폐소생술을 시행해야 합니다.

 

 

 

2. 아기 하임리히법

 

영·유아의 가장 큰 사망원인은 기도폐쇄입니다. 사탕, 땅콩, 건전지, 장난감 등을 삼켜 질식이 일어날 수 있는데요. 1세 이상의 소아는 위와 같은 성인 하임리히법을 사용합니다.

 

1세 미만의 영아는 복부밀어내기 방법이 아닌 5회 등두드리기, 5회 가슴압박을 통해 이물질이 나올때까지 혹은 의식이 없어질 때까지 반복합니다.

 

입 안에 이물질이 있는지 손을 넣어 훑어내는 경우도 하는데요. 이물질을 기도 내로 더 깊게 들어가게 할 수 있어 시행하지 않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