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족저근막염 증상 및 족저근막염 치료법 (발뒤꿈치가 아픈이유)
발바닥 및 발뒤꿈치가 아픈이유 중 대표적인 것이 족저근막염입니다. 관련 증상이 있으면 오래 걷기 힘든데요. 족저근막의 반복적인 미세 손상으로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합니다.
족저근막은 발뒤꿈치뼈에서 시작해 발바닥 앞쪽으로 붙은 두껍고 강한 섬유띠인데요. 이것이 발바닥의 아치 모양을 유지하고 충격을 흡수합니다. 걸을때 중요한 역활을 하죠.
1. 족저근막염 원인
평발 및 아치가 높은 요족변형 등 발에 구조적인 문제가 있을 경우 발생확률이 높습니다. 40~50대 여성은 폐경기 이후 발의 지방층이 얇아져 생기기도 합니다.
가장 큰 발생 원인은 발의 무리한 사용입니다. 등산, 조깅, 마라톤 등 과도한 운동과 딱딱한 바닥에서 발바닥에 충격을 주는 운동 등이 원인이 될 수 있는데요.
오래 서있어야 하는 직업상의 이유, 체중의 급격한 증가, 하이힐, 너무 딱딱한 구두 착용 등도 원인이 됩니다.
2. 족저근막염 증상
움직이지 않으면 통증도 없습니다. 움직이기 시작하면 통증이 발생하는데요. 일정시간동안 계속 움직이면 통증이 줄어들기도 합니다.
아침에 일어나 첫걸음을 걷을때 또는 오랜 시간 앉았다가 일어나 걸을때 통증이 많이 유발됩니다.
3. 족저근막염 치료법
증세가 오래 지속되지 않았다면 보존적 치료도 가능합니다. 무리한 운동 및 잘못된 운동방법을 교정하고 편한 신발을 신는 것이 좋은데요.
하루에 10번 이상 발과 종아리 근육의 스트레칭 운동을 해주는 것도 좋습니다. 아침에 일어났을때 및 오랫동안 앉았다가 일어나기 전 미리 스트레칭을 하면 효과가 좋습니다.
<뒤꿈치 컵> 등 보조기기, 소염진통제, 스테로이드 주사요법, 체외충격파요법, 물리치료, 냉찜질, 보호대 착용 등으로도 치료하는데요.
호전되지 않으면 족저근막을 늘리는 수술을 하기도 합니다. (수술 성공률 약 70~90%) 조기에 치료받으면 비수술적 방법으로도 90%이상 치료되는데요. 증상이 오래 지속될수록 비수술적 치료법의 성공가능성이 낮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녹내장 증상, 원인 (0) | 2018.12.11 |
---|---|
섭식장애란? 거식증, 폭식증 진단기준 (0) | 2018.12.10 |
햄스트링 치료법, 증상 (0) | 2018.12.10 |
임플란트 부작용 증상 (시술후 통증, 주위염) (0) | 2018.12.10 |
독감예방접종 가격 차이 (독감 백신 3가 4가) (0) | 2018.1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