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황반변성이란? 황반변성 원인, 황반변성 증상, 황반변성 치료법

 

'황반변성'은 연령이 높아질수록 진료환자수가 증가합니다. 보건복지부 통계에 따르면 50대 이상이 전체 진료환자의 94.0%를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납니다. (2016년 기준)

 

 

1. 황반변성이란?

 

안구 내 시각자극을 시신경으로 전달하는 부위가 망막입니다. 카메라의 필름에 해당하는 부위인데요. 이 중에서도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부분이 황반입니다.

 

황반변성은 이러한 황반부에 변성이 생기는 질환입니다. 일반적으로 50세 이상 고연령층에서 발생하여 나이 관련 황반변성이라고 합니다.

 

 

2. 황반변성 원인

 

황반변성의 정확한 원인은 알려져 있지 않습니다. 다만 망막 세포층의 노화가 진행되면 망막하 노폐물의 제거능력이 떨어져, 망막하층에 노폐물들이 쌓이며 진행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나이의 증가가 가장 확실하고 강력한 위험 인자입니다. 이 밖에도 흡연 및 유전적 요인 등이 관련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3. 황반변성 증상

 

황반부는 시력의 초점이 맻히는 중심부입니다. 이 부분에 변성이 생겼을 때는 사물이 구부러져 보이고 사물의 중심부위가 흐려 보이거나 아예 보이지 않는 암점이 생기기도 합니다.

 

병의 진행시 대부분 중심시력이 감소하는 시력장애를 일으킵니다. 나이 관련 황반변성은 크게 건성과 습성으로 구분합니다.

 

*출처 : 보건복지부

 

- 건성 황반변성 : 초기와 중기 나이관련 황반변성과 지도모양위축이 생기는 후기 황반변성

- 습성 황반변성 : 맥락막 신생혈관이 동반되는 경우

 

건성 황반변성은 초기 증상이 없고 치료가 필요하지 않은 경우가 많습니다. 다만 시간이 지남에 따라 습성으로 진행되어 시력 감소로 이어질 수 있습니다.

 

습성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출혈과 황반부종 등이 동반됩니다. 치료하지 않을 경우 급격한 시력저하가 진행됩니다. 고습성 황반변성은 선진국에서 60세 이상의 가장 흔한 실명 원인입니다.

 

 

4. 황반변성 치료법

 

맥락막 신생혈관을 동반한 습성 황반변성 치료는 안내 항혈관내피세포성장인자 항체 (anti-VEGF) 주사 시술로 좋은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중심시력저하나 변시증 등 증상이 있을 때는 빠른 시일 내에 안과를 내원하여 안저검사를 받고 적절한 치료를 받는 것이 필요합니다.

 

건성 황반변성으로 진단받을 경우 정기적인 안과 검진 및 암슬러 격자 등을 이용해 자가검진을 시행하는 것이 좋습니다. 질환의 진행을 경과 관찰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