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백일해 증상 및 백일해 예방접종 시기
백일해의 병원체는 백일해균(Bordetella pertussis) 입니다. 환자나 병원체보유자의 비말과 접촉하여 전파됩니다.
1. 백일해 증상
- 카타르기 : 콧물, 눈물, 경한 기침 등의 상기도 감염 증상이 1∼2주간 나타남
- 경해기 : 이후 2∼4주간 발작적인 기침이 나타나고 기침 후에 구토를 보임
- 회복기 : 1∼2주에 걸쳐 회복기에 이르는데, 이때 상기도 감염에 이환되어 다시 발작성 기침이 재발되는 경우도 있음
- 연령, 백신접종력, 수동 면역항체 보유 여부에 따라 증상이 다양할 수 있으며, 뚜렷한 변화 없이 가벼운 기침이 1주일 이상 지속되는 경우도 있음
2. 백일해 치료
대증적 치료 및 항생제(전염력 감소 및 증상 호전에 도움이 되지만, 발병 초기에 투여하지 않으면 증상 경감은 기대하기 어려움)로 치료합니다.
격리기간은 유효한 항생제 투여 시작 5일 후까지 혹은 항생제 복용이 불가능한 경우 발작성 기침 시작 후 최소 3주간 유지합니다. (표준·비말감염 격리 필요)
3. 백일해 예방접종 시기
모든 영유아는 DTaP 백신(기초접종, 추가접종), Tdap 백신(추가접종)을 무료접종 받을 수 있습니다. 백일해 예방접종 시기는 아래와 같습니다.
-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
- 생후 15~18개월과 만 4~6세 때 각각 1회 추가접종
- 만 11~12세 때 Tdap 1회 접종
* 총 3회의 기초접종과 만 4~6세 추가접종은 DTaP-IPV 콤보백신으로 접종할 수 있으며, 기초접종 시 DTaP-IPV/Hib 콤보백신으로도 접종 가능합니다.
▶ 관련글> 신생아 예방접종표 (예방접종 시기)
청소년 및 성인은 10년마다 시행하는 파상풍 접종 기간 중 1회 Tdap 또는 Td 접종(단, 접종 중 1번은 Tdap 접종) 합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프리카 돼지열병 사람 감염, 인체영향 (0) | 2019.10.11 |
---|---|
무혈성 괴사 치료, 원인 (골괴사증) (0) | 2019.04.10 |
망막장애 증상, 치료 (0) | 2019.04.10 |
폐렴구균 예방접종 비용 무료 (만65세 이상) (0) | 2019.04.09 |
버거씨병 초기증상, 치료 (0) | 201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