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망막장애 증상 및 치료
망막은 눈에서 카메라의 필름과 같은 역활을 합니다. 눈 내부에 있는 얇은 신경막인데요. 눈에 들어온 빛을 전기신호로 바꿔 뇌에 전달합니다.
어떤 원인에 의해 이곳이 손상되는 것을 '망막장애'라고 하는데요. 60대 이상의 환자가 많습니다. 노인에게 많이 발생하는 고혈압과 당뇨가 망막장애에 영향을 주기 때문입니다.
1. 망막장애 증상
중심 시력을 담당하는 황반부에 망막장애가 생기면 시력이 감소합니다. 시력의 중심쪽이 보이지 않을 수 있습니다.
이외 시야장애 및 광시증(어두운 곳에서도 빛을 느끼는 증상), 비문증(눈앞에 먼지나 벌레가 떠다니는 듯한 증상) 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망막질환이 있는 경우에는 야맹증, 색약, 색맹을 동반하기도 합니다.
2. 망막장애 치료
주사를 통해 약물을 안구 또는 안구 주변에 직접 주입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노인성 황반변성, 혈관폐쇄, 당뇨망막병증에 동반된 황반변성에 많이 적용합니다.
레이저 치료, 유리체 절제술, 공막돌륭술 등의 수술적 치료도 있는데요. 환자에 따라 치료방법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3. 망막장애 예방법
정확한 원인이 없어 특별한 예방책도 없습니다. 노인에게서 많이 발생하는 만큼 50세 이상은 1~2년에 한번씩 정기적으로 안과검진을 받는 것이 중요합니다.
고혈압 및 당뇨환자 등은 특히 혈압 및 당 조절에 신경써야 합니다. 시력저하 및 시야 장애 등의 증상이 있다면 바로 안과검진을 받아보시고요. 금연하는 것이 좋습니다.
'건강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무혈성 괴사 치료, 원인 (골괴사증) (0) | 2019.04.10 |
---|---|
백일해 증상, 예방접종 시기 (0) | 2019.04.10 |
폐렴구균 예방접종 비용 무료 (만65세 이상) (0) | 2019.04.09 |
버거씨병 초기증상, 치료 (0) | 2019.04.09 |
초미세먼지 기준, 미세먼지 기준 (0) | 2019.04.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