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폐렴구균 예방접종 나이 (가격 비용 무료)

 

폐렴구균 감염증의 병원체는 폐렴구균(S.pneumoniae : pneumococcus)입니다. 호흡기 비말(미세 침방울)을 통해 사람과 사람 간의 직접 접촉으로 전파됩니다.

 

* 폐렴구균 병원체

 

또는 상기도(기도에서, 기관지·후두·인두·코안이 있는 부위) 보균자의 자가접종(이차적 감염)에 의해 감염됩니다.

 

 

1. 폐렴구균 증상

 

주요 증상은 중이염, 폐렴, 균혈증 및 수막염 등입니다. 성인은 폐렴이 가장 흔하고, 소아는 급성 중이염, 부비동염, 폐렴이 흔합니다.

 

합병증은 폐렴의 합병증으로 발생하는 농흉, 심막염, 무기폐나 폐농양 등으로 인한 기관지내 폐색, 사망 등이 있습니다.

 

폐렴구균이 혈액이나 뇌수막에 침투하면 치명적인 합병증이 발생하는데요. 특히 노년층은 패혈증 등 합병증으로 인한 사망률이 20~60%나 됩니다.

 

 

2. 폐렴구균 예방접종 대상

 

모든 영·유아 및 소아에 백신을 접종하며, 성인은 특정 고위험군 또는 만65세 이상 노인의 경우 예방접종이 필요합니다.

 

* 폐렴구균 백신 - 23가 다당질 백신과 13가 단백결합 백신 비교 (출처 : 질병관리본부)

 

① 단백결합 백신 (10가, 13가)

 

- 19세 미만 소아청소년 : 생후 2~59개월 모든 소아, 5세 미만에 접종을 받지 않은 5세 이상의 고위험군(표1) 중 • 60~71개월의 만성질환 및 면역저하 상태의 소아 • 면역저하,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 상태에 있는 6~18세 소아청소년

- 19세 이상 성인 : 면역저하상태, 무비증, 뇌척수액 누출, 인공와우 이식(표2)

 

② 다당질 백신 (23가)

 

- 2세 이상 고위험군인 소아청소년과 성인(표1, 표2)

- 65세 이상 노인

 

 

 

3. 폐렴구균 예방접종 나이 (시기)

 

① 단백결합 백신 (10가, 13가)

 

생후 2~59개월 소아는 생후 2, 4, 6개월에 3회 기초접종을 한 후 생후 12-15개월에 1회 추가접종을 합니다. 단, 생후 7개월 이후 접종을 시작할 경우 시작연령 및 백신 종류에 따라 1~3회 접종합니다.

(10가와 13가 백신간의 교차접종은 권고하지 않음)

 

② 다당질 백신 (23가)

 

65세 이상 1회 접종합니다. 65세 이전에 첫 번째 다당 백신을 접종받은 사람이 65세 이상 되었을 경우 첫 번째 다당 백신 접종으로부터 5년이 경과한 후 1회에 한하여 재접종을 실시합니다.

 

비장적출술, 인공와우 이식술, 항암치료나 면역억제요법 시작 전 최소 수술 2주 전에 접종이 완료되야 합니다. 기능적 또는 해부학적 무비증, 면역기능 저하 상태의 소아청소년(2세 이상)이 접종받을 수 있습니다.

 

 

4. 어르신 폐렴구균 예방접종 비용 무료 사업

 

만 65세 이상 어르신(2020년 기준 1955년 12월 31일 이전 출생자)은 폐렴구균 예방접종 가격 부담없이 무료로 백신 접종이 가능합니다.

 

- 접종시기 : 연중

- 접종백신 : 폐렴구균 23가 다당질 백신

- 접종장소 : 전국 보건소 (지소, 진료소, 보건의료원 포함 주소지 관계 없음)

- 접종횟수 : 만 65세 이상 연령에서 평생 1회 접종

 

 

5. 소아 폐렴구균 예방접종 무료

 

만 12세 이하 어린이(2020년 기준, 2007년 1월 1일 이후 출생자)는 어린이 국가예방접종 지원대상이므로 폐렴구균 예방접종을 무료로 받을 수 있습니다.

 

폐렴구균 예방접종 나이(시기)에 맞게 접종하면 됩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