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소화가 잘 안될때 나타나는 증상 - 소화불량 원인 및 소화불량 증상

 

 

소화불량 원인은 다양합니다. 위저부(식도와 위가 연결된 부분)의 위적응 장애, 위장관의 운동이상, 위 내장감각의 비정상적인 예민성, 정신적 요소(스트레스 등), 산 분비 이상, 십이지장의 기능이상, 헬리코박터균 등의 위장관 감염 등으로 발생할 수 있는데요.

 

 

원인을 밝혀낼 수 있는 <기질적 소화불량>과 원인을 알 수 없는 <기능성 소화불량>으로 구분합니다. 기능성 소화불량은 심리적인 스트레스로 발생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소화불량 원인의 60%를 차지합니다.

 

 

단순히 소화가 안 되는 것 외에 속쓰림, 조기 포만감, 상복부 만복감(배가 잔뜩 부른 느낌), 상복부 팽만감(배가 부풀어 터질것 같은 느낌), 트림, 구역, 구토 등 여러가지 소화불량 증상이 있는데요.

 

 

보통 소화불량증이라고 진단하는 것은 기능성 소화불량을 말하며 상복부에 중심을 둔 통증이나 불편한 느낌이 만성적인 경우를 말합니다.

 

 

소화가 잘 안될때 나타나는 증상 때문에 약국에서 제산제 및 소화제 등을 구입해 복용하는 경우가 많은데요. 증상이 심하다면 병원에서 진료 및 치료를 받는 것이 좋습니다.

 

 

스트레스를 줄이는 것도 필요한데요. 맵고 짠 자극적인 음식이나 기름진 음식은 피하는 것이 좋습니다. 카페인 음료나 음주 등도 제한하는 것이 도움이 됩니다.

 

 

식이섬유가 많은 음식은 소화가 늦게 되니 소화가 잘 안될때는 드시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불규칙한 식사를 장기간 하면 위장 점막의 위축이나 위산에 의한 손상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밤 늦게 식사하는 것도 좋지 않은데요. 식사 후 바로 과격한 운동을 하면 위 기능 저하 및 위식도 역류에 의한 소화불량 증상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외 즐겁지 않은 식사와 급한 식사습관 등도 트림 및 복부팽만감 등을 유발할 수 있는데요. 음식은 천천히 씹은 후 먹는 습관을 가지는 것이 좋습니다.

반응형
댓글
반응형